엄지 손가락과 글쓰기 인류의 진화 과정에서 엄지 손가락이 차지하는 역할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다. 엄지가 다른 손가락으로부터 분화되어 나옴으로써 인간은 비로소 도구를 잡아 쥘 수 있게 되었고, 이는 인류를 동물로부터 구분시켜 주는 진화의 단계에 결정적인 일보를 가능케 했으니까. 손으로 도구를 쥘 수 .. 언어,문자, 미디어 2011.07.05
'여보세요'의 소멸 4년전인 2006년, 나는 전화 커뮤니케이션에 대해 이런 생각을 하고 있었다. “벨이 울린 수화기를 받아들면서 우린 ‘여보세요’ 라고 말한다. 마치 상대를 향해있는 것 같은 이 모호한 언어행위는, 그러나 사실 아직 상대와의 어떤 관계도 맺고있지 않은, 수취인 불명의 발화다. 이 말은 다만 수화기를 .. 언어,문자, 미디어 2010.10.09
한국의 강연 문화 한국에서 강연 또는 발표엔 늘 미리 발표 원고를 나누어준다. 난 독일에 있을 때 학생들의 ‚발표‘가 아니라, 강연시에 그러한 경우를 한번도 본 적이 없다. 발표 원고를 미리 나누어주면, 사람들은 연사가 ‚구술적 연행‘을 통해 이야기할 내용을 미리 ‚알아버릴 수‘ 있다. 그리.. 언어,문자, 미디어 2010.08.31
글과 그림 : 독일 Mabach 전시회 "Randzeichen" 독일 마바흐에서는 "여백 그림"이라는 제목의 전시회가 열리고 있다. 거기에 전시되고 있는 작가들의 친필 수고에는 우리에게는 인쇄되어 전달되는 '글자'들 뿐 아니라, 아래의 사례에서 보이는 것처럼 '그림'들이 쓰여져/그려져 있다. 헤르만 헤세, O wilde Nacht! Rilke, Duineser Elegie (8te) Karl Wolfskehls Gedicht .. 언어,문자, 미디어 2010.02.26
"권위적"과 "권위주의적" 검찰총장 후보로 인선되어 인사 청문회를 받고 있는 김준규의 인터뷰를 보았다. 한나라당 의원이 '그동안의 불법 시위 등으로 인해 실추된 검찰과 국가의 권위를 어떻게 회복할 것인가'라는 류의 질문을 던지자, 김준규 후보자는 다음과 같이 답변하였다. "권위주의는 안되지만 권위는 회복해야 한다.. 언어,문자, 미디어 2009.08.30
"눈"에 집중하는 아시아인, 얼굴 전체를 보는 유럽인 ? 기테가 자신의 블로그 Seoul Mate 에 소개한 흥미로운 기사가 있어서 여기 옮겨놓는다. 글로스고우 대학 심리학 팀이 했던 실험 결과로 사람들의 얼굴표정에서 그들의 감정을 읽어내는데 있어서 아시아 인들과 유럽인들이 얼마나 다른가를 입증했다는 것이다. 요약하자면, 유럽인들은 상대의 얼굴표정.. 언어,문자, 미디어 2009.08.21
신문, 역사, 인터넷 Normal 0 21 false false false MicrosoftInternetExplorer4 한국에선 철거민들이 불타죽고 시민들이 항의 촛불시위를 벌이고 있는 동안 난 몇달째 지불되지 않는 원고료를 독촉하며 출판사에 짜증을 부리고 있다. 나는 개인적 삶과 사회적, 정치적 사건들 사이의 이러한 간극을, 예를들어 80년대 대학 초년생처럼 사회.. 언어,문자, 미디어 2009.02.05
인터넷과 속도. 인터넷은 계몽을 가속화시킬 수 있을까 1797년 오늘날과 같은 대중신문도 인터넷도 존재하지 않았던 시대에 살았던 임마누엘 칸트는 책을 누군가가 대중 (Publikum) 들을 향해 눈에 보이는 문자를 통해 행하는 공공적 (öffentlich) 연설 (Rede)[1]이라고 정의한다. 말하자면 책을 출판한다는 것은 특정 사안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문자를 통해 대중.. 언어,문자, 미디어 2007.07.08
[스크랩] 문자와 지배. 평양의 거리 풍경에 대한 문자학적 단상 <파이드로스> (274c &#8211; 278b) 에서 소크라테스의 입을 빌려 털어놓는 플라톤의 문자에 대한 비판은 다음과 같이 네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 문자는 우리 내부에 존재하면서 우리의 정체성을 구성해 주는 기억을 약화시키다. 둘째, 그 속에 말하는 자가 부재하는 문자는 그를 읽는 사람이 그.. 언어,문자, 미디어 2007.02.27
욕의 언어학 우리가 사용하는 모든 단어들이 단지 사물에 붙여진 임의적이고 관습적 기호에 불과하다는 소쉬르적 주장에 확신하는 사람들에게도 그 이론적 확신을 스스로 배반할 수 밖에 없는 실천적 삶의 순간들이 존재한다. 누군가에게 공격과 모욕을 받고 그 상대에 대한 분노와 적개심을 그에 대한 &#8218;.. 언어,문자, 미디어 2007.0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