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2011년 3월 9일) <나는 가수다>: "내가 (다) 죽인다." (수정) 0. 어제(2011.3.6) <나는 가수다>를 보았다. 보면서, 아내와 내가 끊임없이 변주한 하나의 표현이 있었는데, 그건 '말도 안돼'라는 문장이었다. '말도 안돼...' '세상에, 어떻게...' 도대체 무엇이 말이 안된다고 느꼈던 것일까? 나는 쉽게 ‘무엇’의 자리를 채울 수 없었다. 물론 방송 후 인터넷 여기저.. 소통과 삶 2011.03.25
"오죽하면" 오죽하다 : 정도가 매우 심하다. (주로 의문 종결형 앞에서 &#8218;오죽하면’, &#8218;오죽해서’의 꼴로 쓰임). 예문 : &#8222;오죽하면 그 짓을 했을까“. (동아 새국어 사전, 1647 쪽 ) &#8222;오죽하면“이라는 한국어 단어는 다른 언어로 번역하기가 쉽지않다. &#8218;오죽하면’의 기본형 &#8.. 소통과 삶 2008.02.21
"통찰의 의사소통" 과 인간관계 현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상) 에 의사소통에 관한 매우 흥미로운 글 하나가 실려있다. 작고한 조선일보 컬럼니스트 이규태가 쓴 <헛기침으로 백마디 말을 한다>는 제목의 글이다. 여기서 그는 소위 &#8222;말없는 통찰의 의사소통“을, &#8222;통찰을 필요로 하지않는 말로하는 의사소통“과 대.. 소통과 삶 2006.12.09
왜 인터넷 커뮤니케이션은 실패하기 쉬운가. · 우리는 매일 일상적으로 다른 사람들과 커뮤니케이션을 하고 있지만, 생각해보면 사람들 사이의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지고, 또 그에 근거해 사회 시스템이 움직여가고 있다는 것은 그 자체로 놀라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왜냐하면, 도대체 커뮤니케이션이 작동한다는 것 자체는 원리적으로 힘든 .. 소통과 삶 2006.05.23
진리의 진리성은 어떻게 담보되는가. 진리는 그를 누가 주장하든 진리일 수 있을까. 진리는 그 진리를 누가 이야기하건 상관없이 독립된, 그 자체의 자기 진리성을 가지고 있을까. 진리는 그것이 누구에 의해 대변되든, 어떤 이가 그를 전파하고 다니든 스스로 진리라고 하는 객관적 진리성을 담보하고 있을까. 진리 개념 자체에 내재하고 .. 소통과 삶 2006.04.01
대화와 비판이 왜 상대를 낯설게 만드는가 분석의 논리는 대화의 논리와 구분되어야 한다. 분석이 대상의 표면적 외관을 뚫고 들어가 그 대상 스스로도 의식하지 못하고 있는 심층과 무의식 까지를 밝혀내어야 하는 것이라면, 구체적인 상대와의 대화나 논쟁은, 그의 진술의 배후에 도사리고 있는 감추어진 이해관계, 무의식적 욕구와 권력에.. 소통과 삶 2006.02.17
말하지 못하는 존재 말하는 존재/ 말하지 못하는 존재 말하지 못하는 존재는 우릴 매료시킨다. 아직 말을 배우지 못한 아이 (En-fant) 이건, 집에서 기르는 개나 고양이이건, 아니면 동물원 우리 속의 고릴라이건, 저 말하지 못하는 존재, 나의 말과 행동에 말로 응답하지 못하는 존재, 말을 통해 나의 말과 행동을 다른 이들에.. 소통과 삶 2005.10.07
합리적 사회와 고독한 개인 정당함만으로는 삶의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 정당하지 못하고, 진실이 아니며, 마음에 들지 않는 진술과 행위들에 대해 그를 지적하고 그 타당성을 묻고, 그에대한 논증을 요구하는 것은 토론과 논박의 경우에는 적용될지 몰라도, 그 모든 것들에도 불구하고 삶을 어찌했든 지속해야 하는 많은 개인.. 소통과 삶 2004.10.20
의식과 삶의 합리화 급속한 외재적 합리화의 과정 속에서 한국인들은 그들의 삶 속에 뿌리박고 있던 의례 Zeremonie들을 던져버렸다. 삶의 순간 순간 마다의 이행과 그로부터의 사회적 책임감을 상징적으로 체험하며, 가족과 공동체 성원들간의 유대를 확인하게 해 주던 많은 의례들은 미신적이자 비합리적인 것, 나아가 실.. 소통과 삶 2003.09.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