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을 좋아하는 사람은 폭력적이다. 음악을 좋아하는 사람은, 폭력적일 경우가 많다. 그는 어떤 감정의 흐름 ‘속에’, 그것이 진행중인 시간 ‘속에’ 자리 잡고 싶어한다. 그는 시간 속에서 흘러가는 음악 속에서 그 음악과 함께 조응하는 자신의 감정을 느낄 때에만 자신의 진정성이 보장된다고 믿는다. 음악을 들으며, .. 카테고리 없음 2014.03.17
대통령 선거, 예외상황, 폭력 <정치신학 politische Theologie>에서 칼 슈미트의 논의로부터 출발, 예외 상황Ausnahmezustand에 대한 법적, 정치적 규정들과 그것의 역사적, 현실 정치적 의미들을 연구하고 있는 지오르지오 아감벤[1]에 따르자면 예외상황은 현존하는 &#8218;법적[2] 질서 Rechtsordnung가 보류 suspendiert’ 되고 그를 대체할 .. 시론 2008.01.01
노동, 사적소유, 폭력 (1) 사적 소유의 기원 &#8222;아득한 옛날에 한편에는 부지런한 엘리트가 있었고 다른 한편에는 게으른 룸펜이 있었다. 전자는 부를 축적하였고 후자는 결국 자기 가죽말고는 아무 것도 팔 것이 없게 되었다. 이 원죄로부터 다수 대중의 빈곤이 시작되었는바, 그들은 노동을 계속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 읽을수 있는 세계 2007.10.21
폭력, 아나키즘, 메시아주의: 발터 벤야민 <폭력비판을 위하여> 벤야민의 글 <폭력 비판을 위하여>에서 폭력일반에 대한 평화주의적, 반폭력주의적 논거를 얻으려 하는 사람은 크게 실망하고 돌아설 것이다. 오히려 그는, 폭력을 인간 사회의 법[1]적 질서의 근원적 출발점으로 삼고도 모자라 (신적)폭력의 도래를 메시아적 질서를 통해 이루어져야 할 정의의 근.. 읽을수 있는 세계 2007.0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