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클라스 루만의 카드상자 루만의 인터뷰 글을 읽었다. 루만은 25세때부터 자신의 평생을 계획하고 매일 책을 읽을때마다 독서 카드를 작성하여 지금까지 모았다. 그의 Zettel Kasten은 그가 글을 쓰는 데 없어서는 안될 자료가 되었다. 그는 자신이 기억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자신이 책을 읽으며 들었던 생각과 책에서 얻은 생각들.. 물건과 문화 2004.02.24
두개골 내 것, 오로지 내 것이나 내가 볼 수 없는 것 내 속에 있어 날 존재케 하나 내게는 모습을 드러내지 않는 것 다만 그를 둘러싼 얼굴 껍데기를 더듬는 손길에만 그의 윤곽을 드러내는 내가 죽어서야 비로소, 날 존재케 하던 자신의 소임을 마치고서야 비로소 내가 존재했었음을 이 세상에 확인시켜 줄 그.. 미학적 인간 2004.02.24
도장과 사인 한국에서 난 내 진정성의 증거물로 남기는 도장을 내 손으로 휘갈겨 쓰는 싸인보다 더 오텐티쉬한 것으로 여겼다. 도장은 그 소유의 제한으로 인해 그 진정성을 보장 받는다. 임금의 옥새를 아무나 가지고 있을수 없듯이 나의 도장은 나 만이 소유하고 있음으로 해서, 나의 도장이 찍힌 문서는 나의 정.. 물건과 문화 2004.02.24
폴 브릴리오, 공공장소의 사진 Paul Virilio, Das öffentliche Bild, in Digitaler Schein : Ästhetik der elektronischen Medien, (hg,) Florian Rötzer, 1991, Shurkamp 상품광고 사진을 분석하고 있는 이 글에서 브릴리오는 오늘날 고화질의 사진기술이 상품과 인간, 물건과 인간과의 관계를 어떻게 변화시켰는지 지적하고 있다. 과거와 과거에 일어났던 일, .. 물건과 문화 2004.02.23
베트남 담배 밀매꾼 그들은 눈에 띄어서는 안된다. 최소한 네보루 이상의 담배를 숨기고 있을 그들의 헐렁한 잠바 속 주머니가 바깥으로 너무 불룩하게 튀어나와 있어서도 안되고, 거슬러줄 잔돈이 잔뜩 들어있는 동전 주머니에서 지나치게 짤랑거리는 소리가 나서도 안된다. 사람들이 많이 다니는 전철이나 기차역, 슈.. 베를린, 베를린 2004.02.23
아돌프 히틀러의 나의 투쟁 맑스는 이론이 갖는 물질적 힘에 대해 말한바 있다. 관념과 생각에 불과한 이론이 많은 사람들에게 받아들여져 그들의 활동과 삶의 태도를 규정하는 사상으로 변할때 이론은 커다란 물질적 힘을 통해 인류 역사 자체를 변화시키는 힘을 갖게된다는 것이다. 지금까지의 인류 역사에서 이처럼 물질적 .. 읽을수 있는 세계 2004.02.22
텍스트의 즐거움 : 롤랑 바르트 글로 쓰여질 수 있는 이야기는 어떤 것일까. '글'이라고 하는 '내 것이 아닌'소유물. 글이 '내 것이 아닌'이유는 단지 그것의 존재가 나보다 앞서 있었기 때문만은 아니다. 글은 고분고분 나의 애무를 받아들이다가도 불쑥 난폭하게 나의 신원 증명을 요구해 와 날 당황하게 하기도 한다. 글은 익명성의 .. 읽을수 있는 세계 2004.02.21
니클라스 루만의 Liebe als Passion 커뮤니케이션(소통)에 대한 루만과 하버마스의 차이 루만과 하버마스는 모두 의사소통이 지각과 정보의 차원에서 아니라, 그 지각, 정보, 감정 들이 어떤 방식으로든 ‚전달’ 또는 ‚외화’되었을 때 비로소 시작된다고 본다는 점에서 현실주의적 소통주의자들이다. 곧 소통이란 의미있.. 읽을수 있는 세계 2004.02.21
사적 소유와 감각의 해방 경철초고에서 칼 맑스는 자본주의적 사적 소유가 대상에 대한 모든 감각들, 곧 만지고, 보고, 듣고, 느끼고, 냄새맡고, 맛보는, 인간과 세계 사이의 교통을 가능하게 하는 이 감각들을 단지 사적으로 ‚가진다’라고 하는 소유 감각으로만 축소시켰다고 말한다. 사적 소유관계 하에서 „한 .. 물건과 문화 2004.02.21
로또의 미학 흥부에게 제비가 물어다 준 박씨에서 자라난 박에선 ‚돈’이 아닌 쌀과 옷, 집과 먹을 것들, 그리고 흥부 집안의 일손을 덜어줄 하인과 인부들이 나왔다. 돈이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제화와 용역과 교환할 수 있는 전능한 교환수단으로 자리 잡은 이후, 말하자면 자본주의가 세계의 물질적 존속.. 물건과 문화 2004.0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