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말론에 관한 몇가지 사실들 1997년 미국의 천문학자 짐 스코티 (아리조나대 교수)는 소행성 '1997 XF11'을 발견하고 2028년 10월 27일 지구와의 충동설 (4만Km까지 접근하거나 최악의 경우 충돌함)을 내놓았다. 이에 미항공우주국 (NASA)은 잘못된 계산을 바로잡으면서 96만Km떨어진 곳을 스쳐지나치게 될 것이라고 발표했다. 1908년에는 시베.. 역사, 인물 1999.09.20
'기생수' 기생수와 인간의 공생 어디선가 날아온 테니스 공 만한 포자에서 한 생물이 기어나와 자고있는 사람들의 귀나 코를 통해 인간 몸 속에 침투한다. 그들은 뇌를 점령하여 인간을 숙주로 삼는걸 목표로 하는 맹목적 생명체이다. 기생수의 숙주가 된 인간은 여느 인간과 같은 모습을 하고 있지만, 때때로 .. 읽을수 있는 세계 1999.09.18
추상충동과 이집트 미술 Worringer에 의하면, 예술은 자연에 대한 자연주의적 모방에서부터가 아니라 '기하학적 추상'에서부터 출발하였다. 원시인류를 위협하던 세계에 대해 인간은 처음부터 친화적으로 다가갈수 없었다. 오히려 인류는 우연적이고 상대적이며 언제 변화할지 모르는 외계대상들을 절대적이고 영원한 추상적 .. 읽을수 있는 세계 1999.09.14
그때 거기 '오랫동안 글을 쓰지 못했던 때가 있었다. 이 땅의 날씨가 나빴고 나는 그 날씨를 견디지 못했다. 그때도 거리는 있었고 자동차는 지나갔다. 가을에는 퇴근길에 커피도 마셨으며 눈이 오는 종로에서 친구를 만나기도 했다. 그러나 시를 쓰지 못했다. 내가 하고 싶었던 말들은 형식을 찾지 못한 채 대부.. 미학적 인간 1999.09.12
마녀사냥과 기독교 그리스도교가 사회를 지배하기 위해선 당시의 삶과 사회를 지배하고 있었던 이교도, 즉 동양의 지혜를 몰아내기 위한 싸움을 벌여야 했다. 르네상스 이전 중세를 휩쓸고 있었던 이교도적 경향들의 원천은 이후 르네상스에 와선 학문과 삶의 전범으로 추앙되기에 이르는 그리이스, 로마의 문화였으며,.. 역사, 인물 1999.09.12
묵시록, 유토피아 , 사라진 종말 # 15세기 자연신학은 묵시론의 예언을 자연을 통해 증명하려 하였다. 세계는 하느님이 예시한 종말을 향해 나아가고 있으며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자연 현상들이 그러한 자연적 종말의 과정을 예시해준다는 것이다. 그러나, 또한 이 시기는 토마스 모어를 필두로 한 '유토피아론'들이 등장한 시기이기.. 역사, 인물 1999.09.12
이 컬럼에 대하여 전 사람들이 세상을 '느끼는' 방식에 대해 관심이 많습니다. 지금까지 우린 세상을 '생각하는' 많은 방법들에 대해 이야기해 왔습니다. 그리고 그건 '철학'이라는 이름으로 체계화되어 오늘날까지 남아 있는 줄 압니다. 그런데, 생각해보면 세상을 바꾸는 건 사람들의 생각 보다는 사람들의 '느낌'이라.. 미학적 인간 1999.0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