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 사적소유, 폭력 (2) 자본주의적 사적소유와 폭력 맑스가 <소위 시초축적> 장에서 말하고 있는 것은 어떻게 &#8222;본원적 사적소유“가 생겨나게 되었는가가 아니라, 어떤 역사적 과정을 거쳐 &#8222;자본주의적 사적소유“가 생겨나게 되었는가이다. 부지런한 개인의 노동에서 기원한 본원적 사적소유를 인간의 .. 읽을수 있는 세계 2007.10.23
노동, 사적소유, 폭력 (1) 사적 소유의 기원 &#8222;아득한 옛날에 한편에는 부지런한 엘리트가 있었고 다른 한편에는 게으른 룸펜이 있었다. 전자는 부를 축적하였고 후자는 결국 자기 가죽말고는 아무 것도 팔 것이 없게 되었다. 이 원죄로부터 다수 대중의 빈곤이 시작되었는바, 그들은 노동을 계속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 읽을수 있는 세계 2007.10.21
벌금과 속죄금 주차 금지 구역에 차를 세워 놓았거나, 도로에서 교통 위반을 했을때, 아니면 노상 방뇨나 무단횡단 등을 하다 적발되었을 때 우린 &#8218;벌-금’을 물어야 한다. &#8222;벌금“이라는 단어 자체가 이미 말해주고 있듯 그건 지정된 법규나 규약을 위반한 우리의 &#8218;죄’에 대한 &#8218;벌’이.. 물건과 문화 2007.10.14
유예된 믿음은 기독교 만의 것인가. 지젝의 <인형과 난장이> 지젝은 오늘날의 믿음을 소위 &#8222;유예된 suspendierte/혹은 부인된 geleugnete믿음“으로 특징지운다. 그건 &#8222;나는 정말로 그걸 믿지는 않는다. 그렇지만 내 문화의 한 부분으로 그를 행한다.“[1]라는 태도로 정식화된다. 사람들은 교회에 나가고, 세례를 받고, 그 곳에서 결혼을 하고, 나아가 죽.. 읽을수 있는 세계 2007.09.16
지하철 개찰구와 법의 힘 파리의 지하철을 타 본 사람들이면 누구나 지하철 플랫폼으로 들어가기 전에 구입한 승차권을 집어넣고 통과해야하는 사람 키만한 높은 개찰문을 기억하고 있을 것이다. 허리 높이 정도의 한국 지하철 개찰구 차단막이 그래도 유사시(?)엔 간혹 그 위를 훌쩍 뛰어넘을 수 있을 여지를 남겨두고 있는 .. 물건과 문화 2007.07.12
인터넷과 속도. 인터넷은 계몽을 가속화시킬 수 있을까 1797년 오늘날과 같은 대중신문도 인터넷도 존재하지 않았던 시대에 살았던 임마누엘 칸트는 책을 누군가가 대중 (Publikum) 들을 향해 눈에 보이는 문자를 통해 행하는 공공적 (öffentlich) 연설 (Rede)[1]이라고 정의한다. 말하자면 책을 출판한다는 것은 특정 사안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문자를 통해 대중.. 언어,문자, 미디어 2007.07.08
근대적 주체, 학문, 자기관찰, 파라노이아 1903년 독일 드레스덴 고등법원 판사회 의장이기도 했던 법학박사 Daniel Paul Schreber 는 자신의 유명한 병력 기록 <주목할 만한 한 신경병자의 기록 Denkwürdigkeiten eines Nervernkranken> 을 출간한다. 이 책에서 그는 1884년 최초로 발발한 신경병[1]으로 인해 라이프찌히 대학 정신병원에 수용되면서부터 이후.. 읽을수 있는 세계 2007.07.05
늙어버린 나에게 너는 네 늙은 피부 속에 갇히게 될꺼야. 너가 무슨 생각을 하건, 어떤 삶의 계획을 가지고 있건, 너의 추한 피부는 널 이 세상의 주변부로 몰아내지. 너의 늙은 육체는, 그것이 불러일으키는 모든 불쾌한 연상들과 함께, 너를 피곤한 퇴근길 지하철 자리만 축내는 성가신 노인으로 만들어 버리니까. 아.. 미학적 인간 2007.05.20
디지털 미디어와 공산주의 지난 2005년 빌 게이츠는 디지털화된 정보 및 소프트 웨어 저작권을 폐지하기를 바라는 &#8218;카피 레프트’주창자들을 비난하면서 이들을 &#8222;새로운 종류의 공산주의자들“이라고 불렀다. 그가 마르크스를 읽었는지 아닌 지는 알 수 없으나 그의 이 발언 자체는 사실상 마르크스가 정의하는 .. 물건과 문화 2007.0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