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력, 아나키즘, 메시아주의: 발터 벤야민 <폭력비판을 위하여> 벤야민의 글 <폭력 비판을 위하여>에서 폭력일반에 대한 평화주의적, 반폭력주의적 논거를 얻으려 하는 사람은 크게 실망하고 돌아설 것이다. 오히려 그는, 폭력을 인간 사회의 법[1]적 질서의 근원적 출발점으로 삼고도 모자라 (신적)폭력의 도래를 메시아적 질서를 통해 이루어져야 할 정의의 근.. 읽을수 있는 세계 2007.03.30
사랑과 페티시즘 2 여전히 강한 헤겔 철학의 영향하에 있던 <경철초고>의 마르크스에게 사랑은 자신의 자유에 대한 의식을 자기존재의 본질적 출발점이자 목표로 삼고 있는 근대적 주체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상호적 인간관계다. 이 근대적 주체는 ‘타자 속에서 자기 자신을 인식하면서도 동시에 자기 자신 내에서.. 읽을수 있는 세계 2007.03.15
사랑과 페티시즘 프로이드에게 패티시즘은 성적 일탈 &#8222;die sexuellen Abirrungen“, 그 중에서도 &#8222;성적목표에 있어서의 일탈“ [1]이다. 페티시즘이 &#8218;성적목표에서의 일탈 Abweichung’이라는 말은 무언가 정상적인 성적목표가 존재한다는 것을 전제하는데, 프로이드에 의하면 정상적인 성적목표란 &#8222.. 읽을수 있는 세계 2007.03.05
[스크랩] 문자와 지배. 평양의 거리 풍경에 대한 문자학적 단상 <파이드로스> (274c &#8211; 278b) 에서 소크라테스의 입을 빌려 털어놓는 플라톤의 문자에 대한 비판은 다음과 같이 네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 문자는 우리 내부에 존재하면서 우리의 정체성을 구성해 주는 기억을 약화시키다. 둘째, 그 속에 말하는 자가 부재하는 문자는 그를 읽는 사람이 그.. 언어,문자, 미디어 2007.02.27
욕의 언어학 우리가 사용하는 모든 단어들이 단지 사물에 붙여진 임의적이고 관습적 기호에 불과하다는 소쉬르적 주장에 확신하는 사람들에게도 그 이론적 확신을 스스로 배반할 수 밖에 없는 실천적 삶의 순간들이 존재한다. 누군가에게 공격과 모욕을 받고 그 상대에 대한 분노와 적개심을 그에 대한 &#8218;.. 언어,문자, 미디어 2007.02.10
전달이 아닌, 표현과 발현으로서의 언어 이제 네 살인 우노는 당사자의 면전에서도 그에 대한 거부를 말하는데 전혀 꺼리낌이 없다. &#8222;나는 아빠 안 좋아. 엄마 좋아.“ 이 말을 들으면서도 내가 상처받지 않는 이유는 우노의 말이 나에대한 비난이나 공격이 아니라는 것을, 곧 다른 사람의 내부로 침투해 들어가 그를 상처입히는 &#82.. 언어,문자, 미디어 2007.02.07
전치사, 관계 대명사 그리고 마침표 · 전치사[1]는 존재하는 모든 것들을 서로 관계맺어 준다. 그건 우리 &#8222;위über “ 에 있는 하늘과 우리 자신을, 하늘 &#8222;아래 unter “에 있는 집과 하늘을, 집 &#8222;안 in “에 있는 사람들과 집을, 내 &#8222;옆 neben “에 있는 책상과 나를, 책상 &#8218;위 auf ’에 놓인 책과 책상을, 책.. 언어,문자, 미디어 2007.02.04
기억하는 정신 : 헤겔과 자기읽기 (2) 지금이 밤이라고 확신하고 그를 &#8218;지금’이라고 기록하는 의식과 다음 날 낮 그렇게 쓰여진 &#8218;지금’을 김빠지고 공허한 것이라고 발견하는 의식 사이엔 핵심적인 차이가 존재한다. 첫번째 의식의 대상이 &#8218;지금은 밤’이라고 하는 감성적 확신이었다면, 기록되어 있는 &#8218;지.. 읽을수 있는 세계 2007.01.20
기억하는 정신 : 헤겔과 자기 읽기 Selbst-Lesen (1) 정신 현상학의 첫번째 장 &#8218;감성적 확실성’의 유명한 구절에서 헤겔은 감성적 확실성 sinnliche Gewissheit 에서 지각 die Wahrnehmung에로의 이행의 첫 번째 과정에 들어선 의식을 서술하고 있다. &#8222;지금이 무엇인가? 라는 질문에 우리는 예를들어 다음과 같이 대답한다. 지금은 밤이다 라고. 이 감.. 읽을수 있는 세계 2007.0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