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과 의지 세상에서 일어나는 악한 일들을 바라보는 두 태도가 있다. 하나는 도덕화의 태도이고, 다른 하나는 분석적 태도다. 이 중 더 뿌리깊은 건 세상의 모든 일들을 도덕적 관점에서 바라보는 전자의 태도다. 이는 세상에서 발생하는 모든 악한 일들의 배후엔 탐욕과 시기, 증오를 가진 악인이 자리잡고 있다.. 시론 2005.11.19
지식과 확신 살다보니, 그때부터 새로 알게되는 사실들, 새로 배우게되는 지식들이 이전에 형성된 나의 생각과 신념을 확증하는 증거들로만 받아들여지게 되는 순간이 온다. 그러면, 나의 지식이 이전의 모든 방황과 무입장, 불확실성을 극복하고 드디어 세상의 모든 일들을 일관된 사유 체계 속에서 바라볼 수 있.. 미학적 인간 2005.11.13
무시간과 무장소의 장소로서의 박물관 박물관은 물건들의 대도시다. 거기엔 자신이 원래 속해있던 장소와 시간으로부터 떨어져 나온 물건들이, 마치 태어나 살던 고향을 떠나 대도시에 몰려든 실향민들처럼 모여있다. 자신이 있던 장소를 떠나 여기, 인위적이고 제도적인 장소 박물관에 모인 저 물건들은, 다만 명찰처럼 붙어있는 안내판.. 기억과 망각 2005.11.07
아이와 시간에 대한 강박 2005.3.27 아이들과 저녁 시간을 보내는 건 마치 영화를 보는 것 같다. 난 저 영화가 어떻게 귀결될 것인지 빨리 알고 싶어하지만 또한 동시에 그 영화가 끝나버리지 않기를 바란다. 아이들이 자러가야할 시간까지 그 아이들과 씨름하며 보내는 시간은 내게, 한편으론 어서 빨리 지나 버려야 하는, 그리하여 치루.. Kindergarten 2005.10.30
이빨빠진 아이 2005.3.13 가은이의 이빨이 어제 빠졌다. 녀석은 그렇게 빠진 이빨과 이빨이 빠져서 생긴 구멍을 보면서 하루종일 즐거워했다. 녀석의 그 즐거움은 저 빠진 이빨이 녀석에겐 성장과 새로움의 표식으로 받아들여졌기 때문일 것이다. 녀석은 이제 그만큼 자신이 육체적으로 성장했으며, 이제 빠진 그 자리엔 더 튼.. Kindergarten 2005.10.30
아이를 유치원에 보내고 2005.2.18 아이들을 다 유치원에 보내고 혼자 집에 있게되면 갖게되는 이 불편한 감정의 정체는 무엇인가? 아마도 그것은 내가 나의 내부와 외부를 구분짓는 경계짓기로 부터 기인한 것일 것이다. 내가 아이들과 함께 바깥에 나가 있을 때 나는 그들과 함께 이 낯선 땅에서 분투하며 싸우고 있는 동지가 된다. 그.. Kindergarten 2005.10.30
거울보는 아이 2005.2.8 아이가 거울을 들여다본다. 거울은 아이에게 최초의 저 ‚상상적 자아’의 모습을 제공해주었던, 아이에겐 ‚자기 자신에게로 나아가는 창문’과 같다. 라깡에 의하면 아이는 저 거울을 통해 비록 상상적이기는 하지만, 자기 자신을 자기가 모두 규제할 수 있는 신체들을 지닌 하나의 통일.. Kindergarten 2005.10.30
거짓말 하는 아이 2004.12.13 아이가 가끔 거짓말을 한다. 자신이 한 행동을 하지 않았다고, 자기 맘에 들었던 다른 아이의 장난감을 들고 나와서는 그 아이가 자기에게 준 것이라고 말한다. 아이가 "말"을 배우게 되면서, 아니 그 말을 통해 이루어지는 커뮤니케이션에 익숙해지게 되면서 아이는 저 말과 실재가 맺고있는 신비스러.. Kindergarten 2005.10.30
아이와 상징계 2004.9.1 라깡에 의하면 인간은 이미 태어난 후 부터 두 개의 주체로 분열되어 있다. 거울에 비친 자신의 모습을 본 아이가 그를통해 상상 속에서 구성해 내는 상상적 자아 (moi)와 그를 자신이라고 믿는 자아 (je)가 그것이다. 그리고 이 두 개의 자아는 우리가 원하는 것과는 달리 하나로 통일되어 있기는 커녕 서.. Kindergarten 2005.10.30
아이의 욕구와 말 2004. 8.2 육체가 필요로하는 모든 것들을 직접 엄마의 육체로부터로 공급받고 있던 뱃속의 태아가 탯줄을 끊기고 그 모태와 분리되고 나서 겪는 최초의 도전은, 자신의 유체적 생존을 위해 필요한 것들을 이제 간접적이고 매개적인 방식으로 조달해야 한다는 것이다. 자신의 생존을 전적으로 타인에게 의존하.. Kindergarten 2005.10.30